앙투안 비테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투안 비테즈는 프랑스의 배우이자 연출가로, 19세에 연기 활동을 시작했으며, 국립 고등 연극학교 입학 실패 후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다가 1979년 탈당했다. 그는 루이 아라공의 개인 비서로 일했으며, 1966년 소포클레스의 '엘렉트라' 연출로 연출가로 데뷔한 후, 러시아와 그리스 레퍼토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고전 작품을 연출했다. 비테즈는 1968년 국립 연극학교 교수가 되었고, 1981년 샤이요 국립극장의 감독, 1988년 코미디 프랑세즈의 부국장을 역임했으며, 1990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그의 미학은 비연극적 요소를 활용하고 관객의 사고를 요구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앙투안 비테즈 극장 등 여러 유산으로 그의 이름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연극 감독 - 앙드레 앙투안
프랑스의 연출가, 영화 감독, 평론가인 앙드레 앙투안은 1887년 떼아뜨르 리브르 극장을 설립하여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연극을 추구하며 '네 번째 벽' 개념을 혁신적으로 활용했고, 이후 영화 감독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프랑스의 연극 감독 - 장뤼크 라가르스
장뤼크 라가르스는 프랑스 극작가, 연출가, 소설가로, 아마추어 극단 창단 및 낭트 국립 연극 센터에서의 연극 공부를 통해 극작을 시작하여 《결별》 발표 후 아비뇽 연극제에서 이름을 알렸으나, 에이즈 진단 후 질병과 죽음을 주제로 작품을 쓰다 37세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번역가 - 샤를 보들레르
샤를 보들레르는 1821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시인, 평론가, 번역가로, 시집 『악의 꽃』을 통해 퇴폐적인 시대를 상징했으며, 상징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19세기 낭만주의 시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번역가 - 장 이폴리트
장 이폴리트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헤겔 연구의 권위자로서, 『헤겔 정신현상학의 생성과 구조』, 『논리와 실존』, 『마르크스와 헤겔』 등의 저서를 통해 헤겔과 마르크스 연구에 기여했으며, 미셸 푸코, 질 들뢰즈, 자크 데리다 등 후대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남자 연극 배우 - 앙드레 부르빌
앙드레 부르빌은 프랑스의 배우, 가수, 작곡가로서, 다양한 직업을 거쳐 보드빌리언으로 활동하다 영화에 데뷔, 루이 드 퓨네스와 코미디 명콤비로 인기를 얻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영화 출연 및 300여 곡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남자 연극 배우 - 닐스 아레스트뤼프
프랑스의 배우이자 연출가인 닐스 아레스트뤼프는 197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영화와 연극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세자르상 남우조연상과 모리에르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2024년 12월 1일에 사망했다.
앙투안 비테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0년 12월 20일 |
출생지 | 프랑스, 파리 |
사망일 | 1990년 4월 30일 (향년 59세)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연극 감독, 무대 감독, 배우, 시인 |
교육 | 타니아 발라초바 |
2. 생애
앙투안 비테즈는 연극 연출가, 시인, 배우로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그는 연극을 "힘의 장"으로 보았고, "모두를 위한 엘리트 극장"을 추구했다.[1] 그는 위대한 고전 텍스트를 "침몰한 갤리선"에 비유하며, 멀고 낡았지만 신화적인 작품들을 옹호했다. 비테즈는 종종 비연극적인 요소가 있는 장소에서 공연하며, 묘사적 기능 없이 "자유로운 놀이"와 "사고의 연상" 미학을 활용했다. 그의 작업은 세트의 현실감보다는 관객의 사고를 요구하는 특징을 지녔다.
그의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캠퍼스 내의 앙투안 비테즈 극장[2][3]과 이브리쉬르센에 있는 이브리 앙투안 비테즈 극장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비테즈는 영화에도 출연하여 여러 작품에서 조연 및 단역을 맡았다.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66 | 전쟁은 끝났다 | 팡-암 직원 | |
1969 | 모드의 밤 | 비달 | |
1970 | 라 뉘 불가르 | ||
1970 | 고백 | 한 공산주의자 친구 | |
1976 | 레 장바사되르 | ||
1976 | 앙투안 비테즈는 클로델과 브레히트와 논다 | 본인 | |
1978 | 녹색 방 | 주교 비서 | |
1978 | 르 바르부예 또는 라 모르 게이 | 교수 | |
1979 | 들어봐 | 종파의 대표 | |
1979 | 나는 사랑에 대해 말한다 | 타르튀프의 배우 | |
1989 | 겨울 54, 아베 피에르 | 내무부 장관 레옹 마르티노-데플라 | (마지막 영화 배역) |
1991 | 말없는 말 또는 파리에서 이방인으로 사랑하기 | 본인 |
2. 1. 초기 생애
앙투안 비테즈는 파리에서 태어나 배우 훈련을 받았다. 19세에 마뵈 극장에서 상연된 ''Ils attendent Lefty''에서 첫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파리에 있는 국립 고등 연극학교 입학에 실패한 후 공산주의 운동가가 되었으며,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1979년 공산당을 탈당할 때까지 이 활동을 이어갔다.1958년 루이 아라공을 만났으며 1960년부터 1962년까지 그의 개인 비서로 일했다. 그는 발라쇼바 타니아 극장에서 활동했으며, 장 빌라르가 잡지 ''Théâtre populaire''에 게재한 평론을 썼다. 비테즈는 라디오에서 낭독을 하고 영화에서 더빙하는 일도 했다. 1966년 캉 문화의 집에서 소포클레스의 ''엘렉트라''를 연출하며 처음으로 연출가로서 기회를 얻었다.
2. 2. 경력
비테즈는 ''엘렉트라'' 연출로 성공을 거둔 후, 러시아와 그리스 레퍼토리 연출을 이어갔다. 1967년에는 마야콥스키의 ''목욕탕'', 1968년에는 예브게니 슈바르츠의 ''용'', 1970년에는 체호프의 ''갈매기''를 연출했다. 초기 이후에는 프랑스 및 독일 레퍼토리 작업에 힘써 장 라신, 야코프 렌츠, 괴테, 브레히트, 르네 칼리스키의 작품을 연출했다. 이후 그의 작업은 소포클레스, 셰익스피어, 마리보, 몰리에르, 장 라신, 폴 클로델,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피에르 기요타, 장 메텔루, 장 오도르를 포함한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연극 레퍼토리로 확장되었다.1968년, 비테즈는 국립 연극학교 교수가 되었고, 1972년에는 이브리 지구 극장을 설립했다. 같은 해에 아마추어와 전문가가 함께 연극을 할 수 있는 이브리 워크숍을 설립했다. 1981년에는 샤이요 국립극장의 감독이 되었고, 1988년 6월 코메디 프랑세즈의 부국장으로 임명되어 1990년 파리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1978년, 비테즈의 워크숍 세션은 영화 제작자 마리아 콜레바에 의해 녹화되었으며, 그녀는 다양한 워크숍 세션에 대한 다섯 편의 영화를 제작했다.[1]
3. 연극 미학
비테즈는 종종 비연극적인 요소가 있는 장소에서 어떠한 묘사적 기능 없이 그의 연극을 선보였으며, 조르주 바누에 따르면 "자유로운 놀이"와 "사고의 연상"의 미학을 활용했다.[1] 비테즈의 작업은 세트의 현실감보다 관객의 사고를 요구했다.[1] 그는 극장을 "힘의 장"으로 보았고, "모두를 위한 엘리트 극장"을 요구했다.[1] 그는 위대한 고전 텍스트를, 멀고, 낡고, 신화적인 작품인 "침몰한 갤리선"으로 옹호했다.[1]
4. 유산
엑스-마르세유 대학교의 전신인 프로방스 대학교 캠퍼스 내에 있는 앙투안 비테즈 극장과 이브리쉬르센에 있는 이브리 앙투안 비테즈 극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3]
5. 작품 목록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66 | 전쟁은 끝났다 | 팡-암 직원 | |
1969 | 모드의 밤 | 비달 | |
1970 | 라 뉘 불가르 | ||
1970 | 고백 | 한 공산주의자 친구 | |
1976 | 레 장바사되르 | ||
1976 | 앙투안 비테즈는 클로델과 브레히트와 논다 | 본인 | |
1978 | 녹색 방 | 주교 비서 | |
1978 | 르 바르부예 또는 라 모르 게이 | 교수 | |
1979 | 들어봐 | 종파의 대표 | |
1979 | 나는 사랑에 대해 말한다 | 타르튀프의 배우 | |
1989 | 겨울 54, 아베 피에르 | 내무부 장관 레옹 마르티노-데플라 | (마지막 영화 배역) |
1991 | 말없는 말 또는 파리에서 이방인으로 사랑하기 | 본인 |
비테즈는 영화와 연극 분야에서 다양한 작품에 참여했다. 영화 출연작으로는 <전쟁은 끝났다> (1966), 모드의 밤 (1969), 녹색 방 (1978), 겨울 54, 아베 피에르 (1989) 등이 있다.
연출작으로는 마야콥스키의 ''목욕탕'' (1967), 예브게니 슈바르츠의 ''용'' (1968), 체호프의 ''갈매기'' (1970) 등이 있다.[1]
5. 1. 연출
비테즈의 ''엘렉트라'' 연출은 성공적이었으며, 그는 러시아와 그리스 레퍼토리 연출을 이어갔다. 1967년에는 마야콥스키의 ''목욕탕'', 1968년에는 예브게니 슈바르츠의 ''용'', 1970년에는 체호프의 ''갈매기''를 연출했다. 이 초기 시기 이후, 그는 프랑스 및 독일 레퍼토리 작업을 더 많이 시작하여 라신, 야코프 렌츠, 괴테, 브레히트, 르네 칼리스키의 작품을 연출했다. 이후 그의 작업은 소포클레스, 셰익스피어, 마리보, 몰리에르, 장 라신, 폴 클로델,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피에르 기요타, 장 메텔루, 장 오도르를 포함한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연극 레퍼토리로 확장되었다.[1]5. 2. 영화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66 | 전쟁은 끝났다 | 팡-암 직원 | |
1969 | 모드의 밤 | 비달 | |
1970 | 라 뉘 불가르 | ||
1970 | 고백 | 한 공산주의자 친구 | |
1976 | 레 장바사되르 | ||
1976 | 앙투안 비테즈는 클로델과 브레히트와 논다 | 본인 | |
1978 | 녹색 방 | 주교 비서 | |
1978 | 르 바르부예 또는 라 모르 게이 | 교수 | |
1979 | 들어봐 | 종파의 대표 | |
1979 | 나는 사랑에 대해 말한다 | 타르튀프의 배우 | |
1989 | 겨울 54, 아베 피에르 | 내무부 장관 레옹 마르티노-데플라 | (마지막 영화 배역) |
1991 | 말없는 말 또는 파리에서 이방인으로 사랑하기 | 본인 |
참조
[1]
서적
Theatre quarterly: Volume 10
[2]
웹사이트
Université de Provence | Aix-Marseille 1
http://www.univ-prov[...]
2012-09-12
[3]
웹사이트
http://uk.travel.ya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